Post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3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3

title: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3 date: 2023-01-16 00:38:19.773 +0000 categories: [노개북] tags: [‘노개북’, ‘노마드북클럽’] description: 노개북 DAY 3 (Assignment 4)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 6 ~ 에피소드 10

기억하고 싶은 내용

에피소드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모두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 주는 도구이다. p.71
  • 라이브러리와 달리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때는 코딩 규칙, 파일 저장 규칙 등 프레임워크의 규칙을 엄격히 지켜야한다. 때문에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를 변경하려면 코드부터 파일 구성까지 모든 것을 새로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해야한다. p.73

에피소드 13. API

  • API는 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 한 것이다. p.80

에피소드 14. 도메인

  • 웹 사이트의 실제 주소는 IP 주소이다. 도메인 시스템은 영문으로 된 주소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이름의 IP 주소로 이동시켜준다. p.87
  • 수백만개의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 서브 전화번호부 같은 ‘레지스트리(registry)’가 여러개 존재한다. 레지스트리는 기업에 의해 운영되며, 가장 유명한 곳이 닷컴(.com)이다. p.87

쿠키 상식

  • 프로그래밍은 운동과 비슷하다. 한 번에 많이 하는 것보다 프로그래밍 습관을 들여 매일매일 꾸준히 하는 것이 더 좋다. p.82
  • 공부나 프로젝트는 목표와 함께 기한을 꼭 설정해야한다. p.84

소감

에피소드 14. 도메인

  • 도메인에 대한 개념은 생소했는데, 이번 기회에 도메인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게 되었다.

에피소드 15. 플래시와 스티브 잡스

  • 내가 초~중학생이었던 2007~2010년경에 플래시로 애니메이션과 게임을 만드는 것에 빠진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유튜브라는 사이트의 존재도 몰랐고, 내가 보는 모든 광고와 동영상이 플래시로 이루어져 있을 정도로 플래시가 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 플래시가 지원 종료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도, ‘아 내가 플래시를 접했을 때부터 이미 낡았고, 이제 더 이상 쓰지 않는구나’ 정도로 생각했다. 그런데 플래시의 전성기와 지원 종료가 불과 10여년 사이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놀랐다. 웹 생태계가 정말 빠르게 바뀐다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궁금하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점

에피소드 13. API

  • 웹 API에 대한 설명을 읽으면서 웹 API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것인지, 아니면 그저 개발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도구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찾아보니 일반 API와 같이 브라우저에서 동작해야하는 복잡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리한 도구였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