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7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7

title: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7 date: 2023-01-22 02:13:27.994 +0000 categories: [노개북] tags: [‘노개북’, ‘노마드북클럽’] description: DAY 7 Assignment 10 image: /assets/posts/2023-01-22-it-5분-잡학사전-노개북-day-7/thumbnail.png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 30 ~ 에피소드 34

기억하고 싶은 내용

  • 프로그램은 책임 있게 만들어야 한다. p.181

    대충 돌아가게만 하면 미래에 이 코드를 넘겨 받은 누군가 곤란할 수 있기 때문, 주기적으로 관리 해주어야 한다.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문의(qurey)를 하기 위해 어떤 구조(structrue)를 가진 언어이다. p.184

    정확히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과 SQL로 상호작용한다. DBMS의 종류는 다양하고, DBMS에 따라 SQL의 문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일종의 SQL 번역기로, 사용자에게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SQL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p.189

  • 하지만 ORM은 만능이 아니기 때문에 SQL 기초 공부는 필요하다. p.189

  •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JSON 형태로 저장한다. 때문에 데이터마다 개발자가 원하는 모양, 원하는 자료형을 마음대로 저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MongoDB가 있다. p.191

  • 키값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정말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카산드라DB, 다이나모DB가 있다. p.192 img

    해시테이블 처럼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키값과, 키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모조리 저장된 열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열이 넓다(column wide)고 한다.

    단점은 value를 통한 조회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범위 검색이나 질의를 위해서는 별도의 보조인덱스나 JSON 형태를 이용해야한다.

  • 버전을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시맨틱 버저닝(SemVer)을 가장 널리 사용한다. ‘4.0.5’와 같이 3개의 숫자로 표시하며, 첫번째 숫자는 프로그램에 매우 큰 변화가 있을 경우, 중간 숫자는 마이너한 업데이트가 있을 경우, 마지막 숫자는 오류 및 버그 수정등이 있을 경우 변경한다. p.199

  • 맥OS의 의외의 장점은 게임을 위한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공부를 방해하는 요소를 사라지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p.201

소감

  • 맥OS로 방해 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말에 솔깃해졌다. 사실 지금도 크롬의 프로필 기능을 이용해 공부/작업용, 놀이용 계정을 분리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부족하다. 쉽게 창을 여닫을 수 있고, 게임도 언제든지 가능하다보니 나도 모르게 빠져있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무리지만, 취업을 해서 돈을 벌게 된다면 맥북 할부를 질러봐야 할 것 같다. ㅋㅋ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