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9
title: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DAY 9 date: 2023-01-25 11:21:52.017 +0000 categories: [노개북] tags: [‘노개북’, ‘노마드챌린지’] description: DAY 9 Assignment 13
에피소드 39 ~ 45
기억하고 싶은 내용
지도학습은 훈련 데이터와 라벨을 토대로 학습해서 테스트 데이터를 판별한다.
p.230
비지도 학습은 라벨이 없는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이다.
p.231
-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로, 어떤 설계 규칙을 말한다. REST 방식으로 설계한 API를 REST API라 한다.
p.232
간단히 개념만 설명하자면 , url은 오직 명사만 사용하며, CRUD 작업은 HTTP 메서드를 활용하여 동일 URL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한다. 필터링, 조건 등이 필요한 경우 쿼리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 도커는 어떤 컴퓨터, 운영체제에서도 같은 개발환경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원하는 개발 환경을 도커 파일에 저장하여 준비해 준다.
p.238
개발은 윈도우에서, 구동 서버는 리눅스 운영체제와 같은 상황일 때 도커를 활용할 수 있다.
도커에 설정된 프로그래밍 언어가 동작하는 환경을 ‘컨테이너’라고 한다. 한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다룰 때도 도커를 통해 여러 개발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p.239
업무, 공부의 시작과 끝을 공간으로 구분할 수 없을 때는 생각과 행동으로 해야한다. 예) 일할 시간이라는 느낌을 주기 위해 단정한 옷을 갈아입는다. 쉴 때는 편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p.248
공간 사용에도 규칙을 주어야 한다. 일하는 방에서는 쉬지 않고, 쉴 때는 반드시 그 공간을 빠져나와야 한다.
p.248
크로스 플랫폼 앱은 특정 하나의 언어(리액트 네이티브, Dart 등)로 작성한 코드를 iOS, 안드로이드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실행되도록 한다. 변환 과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에 비해 성능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p.253
토큰은 핵심 기능 ‘돈을 받는 기능’과 ‘돈을 받고 토큰을 보내주는 기능’ 2가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를 합쳐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이라 한다.
p.256
토큰을 여러개 발행하여 화폐처럼 사용하는 것이 코인이고, 토큰을 딱 1개만 발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 계약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 NFT이다.
p.257
멀웨어는 컴퓨터를 감시하거나 파괴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바이러스와 웜은 모두 멀웨어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p.260
- 제로 데이(zero day) 취약점이란 아직 아무도 발견하지 못한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말한다.
p.263
소감
스턱스넷 내용을 읽으면서 멀웨어가 정말 무섭다는 것을 다시 실감했다. 사실 2000년대 중반쯤에나 멀웨어에 감염되고, 요즘엔 랜섬웨어 정도 말고는 무서울 것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조심해서 컴퓨터를 이용해야겠다.
오늘 노개북은 생소한 개념도 많았고, 분량도 매우 길었던 것 같다. 그렇게 다 읽고 기진맥진해서 페이지를 넘겨보니, 엥? 책이 끝났네?? 노개북 덕분에 평소라면 읽다 지쳐서 매우 오랫동안 조금씩 읽거나 아예 읽는 것을 포기했을 것을 2주만에!! 그것도 내용을 정리하면서!! 끝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앞으로도 노개북 스터디가 열리면 계속 참여하고 싶다.
아쉬웠던 점은 내 TIL을 쓰기 급급해서, 다른 사람의 TIL을 거의 읽어보지 못했다. 중간에 과제로 나왔을 때 다른 사람의 TIL을 보며 감탄하며 참고를 많이 했었는데, 다음번 노개북 스터디를 할 때는 스스로 ‘다른 사람 TIL 읽기’ 과제를 내야겠다.